<p></p><br /><br />Q. 여랑야랑, 김민지 기자의 휴가로 오늘은 정치부 이민찬 기자와 함께 합니다. 첫 번째 주제 볼게요. "지나친 OO", 이재명 후보의 전두환 전 대통령 발언이 논란인데요. 지나친 뭘까요?<br> <br>억측입니다.<br> <br>지난 주말 이 후보의 전두환 전 대통령 옹호 발언 후폭풍이 거세자, 민주당이 해명에 나섰습니다. <br><br>[이재명 /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] <br>"(전두환 전 대통령은) 결코 용서받을 수 없는 범죄자다. 그러나 우리가 양자택일 흑백논리에 빠져있다는 말씀을 드리려고 한거야." <br> <br>[현근택 / 더불어민주당 선대위 대변인] <br>"일부 발언만 두고 전두환을 찬양했다고 덮어씌운 것은 지나친 억측입니다." <br><br>Q. 발언 자체도 논란이지만, 윤석열 후보의 비슷한 발언 때는 맹비난했는데, 내로남불이다 이 지적이 컸죠.<br> <br>민주당은 그 때 윤 후보 발언과는 다르다고 주장하고 있는데요.<br><br>두 사람의 발언 직접 듣고 판단해보시죠. <br><br>[이재명 /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 (그제)] <br>"(전두환도) 공과가 공존합니다.?경제가 제대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한 건 성과인게 맞습니다.?그러나 총칼로 국민 생명을 해치는 행위는 중대범죄입니다."? <br> <br>[윤석열 / 국민의힘 대선 후보 (지난 10월)] <br>"(전두환 전 대통령이) 군사 쿠데타와 5.18만 빼면 잘못한 부분이 있지만 그야말로 정치는 잘했다는 분들이 많습니다." <br><br>Q. '잘못한 것도 있지만 잘한 것도 있다', 의미는 비슷해보여요.<br> <br>내용은 비슷해도 누가 말했냐에 따라 180도 다른 반응을 내놓은 의원이 있습니다. <br><br>[안민석 / 더불어민주당 의원 (지난 10월, KBS 라디오)]<br>"전두환을 찬양하는 발언은 우리 국민들, 특히 호남인들의 역린을 건드린 거거든요. 윤석열 후보의 발언, 제 귀를 의심을 했고요."<br> <br>안민석 / 더불어민주당 선대위 총괄특보단장 (CBS 라디오) <br>"이재명 후보의 이번 발언은 긍정적으로 저는 보고 있습니다. 공과 과를 올바르게 판단을 할 필요가 있는 것이죠."<br> <br>윤 후보 발언을 맹비난했던 많은 여권 인사들, 아직 이 후보 발언에는 별 반응이 없는데요. <br> <br>민주당 이상민 의원 정도만 "매우 부적절했다"며 비판했습니다.<br><br> <br><br>Q. 두 번째 주제 볼까요. '예상 밖 케미' 국민의힘 이준석 대표와 이수정 공동선대위원장, 사이가 그닥 좋진 않잖아요?<br> <br>이준석 대표는 당초 20대 남성, 이대남 표심을 의식해 이수정 경기대 교수의 공동선대위원장 영입에 반대했죠. <br><br>[이준석 / 국민의힘 대표(지난 3일)]<br>이수정 교수를 임명한다고 하는 (선대위) 회의에서도 공식적인 기록에 제가 반대 의견을 냈다는 것은 남겨주십시오라고 이야기했고. <br><br>Q. 이 대표, 지난주 저희 인터뷰 때도 상당히 견제를 하던데요.<br> <br>그런데 오늘 두 사람이 한 목소리를 냈습니다. <br> <br>최근 정치권의 뜨거운 감자로 떠오른 'n번방 방지법' 관련입니다. <br><br>[이준석 / 국민의힘 대표]<br>채팅방을 모니터링하고 제한하는 것은 통신 비밀보장에 위배된다. n번방 사태 매개가 됐던 텔레그램은 실질적으로 규제하지도 못하고 <br> <br>[이수정 / 국민의힘 공동선대위원장]<br>대표님이 말씀하신 대로 해외서버 기반은 전혀 단속이 안 될 것이고 디지털 성범죄 줄이는 데 별로 도움 되지 않는 n번방 방지법이 될 수밖에 없다. <br><br>Q. n번방 방지법이 사흘전부터 시행이 됐는데, 이준석 이수정 두 사람 모두 반대하는 거네요?<br> <br>네, 불법 촬영물 유통을 사전에 막기 위해 관리를 강화하는 법인데요, <br> <br>국민의힘은 '카톡 검열법'이라고 반발하고 있습니다. <br><br>정작 범죄에 많이 쓰이는 텔레그램 같은 해외 SNS는 막지 못하고 성범죄와 무관한 고양이 사진 등만 검열한단 겁니다.<br> <br>민주당은 "검열로 사용되지 않는다"고 맞서고 있습니다. <br><br>Q. 이대남을 주로 대변해 온 이 대표와 여성을 대변해온 이 교수의 의견이 어떻게 일치를 했네요. <br><br>두 사람 모두 현행법의 미비한 점을 보완해야 한단 생각인데요. <br> <br>좋은 케미가 계속될지는 지켜보겠습니다.<br><br> <br><br>Q. 마지막 주제 볼까요. "오합지왕" 이해찬 전 의원이 오랜만에 나와서 국민의힘 선대위를 저렇게 평가했죠.<br> <br>네, 직접 들어보시죠. <br><br>[이해찬 / 더불어민주당 선대위 상임고문]<br>오합지졸이 아니고 오합지왕들입니다. 전부 다 왕 노릇을 하다 보니까 저게 산으로 갈지 바다로 갈지, 대선은 후보가 중심이 되어야죠.<br> <br>김종인, 김병준, 이준석 등 국민의힘 선대위에 대표급 인사들이 너무 많다고 비판한 겁니다. <br><br>Q. 이해찬 상임고문도 한 때는 상왕으로 불렸는대요. 민주당도 이해찬, 유시민 등 인사들이 서서히 등장하는 것 같은데요.<br> <br>이 상임고문, 일단은 "간접적인 지원 역할을 하겠다"며 선을 그었는데요. <br> <br>당 안팎의 여론도 좋지만은 않습니다.<br><br> <br><br>앞서 여권 원로인 유인태 전 의원은 "중도 확장은 주특기가 아니다"라며 이 고문 등장을 우회적으로 반대 의견을 냈죠.<br> <br>지지층 결집을 위해 이 고문 역할이 필요하다는 당내 의견도 있습니다.<br><br> <br> <br>지지층 결집이든, 중도 확장이든, 여야 모두 뻔한 등장인물 만으로는 국민들도 진부하지 않을까요.(발상전환) <br><br>Q. 후보 혼자 이끌면 민주정당이 아니다고 공격받고, 여러 사람과 함께 하면 후보가 안 보인다고 공격받고 어렵네요. 여랑야랑이었습니다.